본문 바로가기

자격증/네트워크 관리사 2급

(3)
Router 설정(네트워크 관리자2급 실기)
IP protocol IP(Internet Protocol) 1. 비신뢰성 - 최선의 서비스만 제공, TCP와 같은 상위 계층에서만 신뢰성 제공 2. 비접속형 - 호스트 사이에 연결설정 없이 패킷전송(tcp : 연결 지향) 3. 주소 지정 - 패킷은 ip주소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전달 4. 경로 설정 - 최적의 경로 설정 5.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브로드캐스트 0 ~ 127 A클래스 128~191 B클래스 192~223 C클래스 224~239 D클래스 240~255 E클래스 IPv4 주소체계 IPv4 주소관리방식 1. Subnetting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를 막기 위해 사용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 구분짓기 위해 사용 2. Supernetting (= 축약) Class A 와 Class B 네트워크의 ..
TCP 프로토콜 & UDP 프로토콜 종류 TCP 프로토콜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토콜 포트 넘버는 80 HTTPS/SSL/TLS HTTP보다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 포트 넘버는 443 TELNET (Tel + Network) 원격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 에뮬레이션(emulation) 포트 넘버는 23 SSH (Secure Shell) TELNET 보안 강화 버전 포트 넘버는 22 FTP (File Transfer Protocol) 대량의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포트 넘버는 21이지만, 데이터는 포트 넘버 20을 통해 주고 받는다. SMTP (Simple Mail Transfer P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