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자격증/네트워크 관리사 2급

IP protocol

IP(Internet Protocol)

1. 비신뢰성 - 최선의 서비스만 제공, TCP와 같은 상위 계층에서만 신뢰성 제공

2. 비접속형 - 호스트 사이에 연결설정 없이 패킷전송(tcp : 연결 지향)

3. 주소 지정 - 패킷은 ip주소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전달

4. 경로 설정 - 최적의 경로 설정

5.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브로드캐스트

 

0 ~ 127 A클래스
128~191 B클래스
192~223 C클래스
224~239 D클래스
240~255 E클래스

 

IPv4 주소체계

IPv4 주소관리방식

1. Subnetting

  •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를 막기 위해 사용
  •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 구분짓기 위해 사용

2. Supernetting (= 축약)

  • Class A 와 Class B 네트워크의 주소 공간의 고갈
  • Class C 주소가  할당되면서 인터넷의 라우팅 테이블 규모의 증대
  • 32비트 IPv4 주소의 궁극적인 고갈

3. CIDR(Classless Inter Domain Routing)

  • 부족한 IP 주소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주소 표현법
  • 기존의 Class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IP주소 대역을 표현
  • 라우팅테이블 감소

4. VLSM(Variable Length Subnet Mask)

  • 서로 다른 크기의 서브넷을 지원하기 위한 구조
  • 네트워크ID는 같고 서브넷 마스크가 변하는 구조

5. 사설 네트워크(Private Network)를 위한 주소 할당

  • 공인 IP는 인터넷 상에 하나밖에 없는 IP로 유일
    - 사설 IP는 인터넷 상에서 확인 불가,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한 IP
  • 사설 IP는 홈 LAN이나 회사 내부에서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, 공인 IP는 각 나라의 관할 기관에서 할당을 받아야 사용 가능
  • 공인 주소와 사설 주소 사이의 호스트와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기능의 제공이 필요함

 

클래스별 IP범위 외우기!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