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DS
- AWS RDS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클라우드에서 설정,운영,확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웹 서비스
- 설치, 모니터링, 백업, 알람 등을 관리해주는 완전 관리형 데이터베이스
- 개발자는 개발에만 집중가능
- RDS의 데이터베이스의 제공 방식은 EC2와 비슷 (DB서버에 ssh 접속은 불가능)
- RDS의 가장 큰 특징 : 파라미터 그룹 시스템(DB의 설정값들을 모아 그룹화한 개념)
RDS의 특징 & 기능
- 관리 부담감소
사용 편의성, 자동 소프트웨어 패치, 모범 사례 권장 시스템 - 확장성
즉각적인 컴퓨팅 규모 조정 : 최대 vCPU 32개와 RAM 244G의 범위 내에서 확장 축소 가능
간편한 스토리지 규모 조정 : 스토리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추가 스토리지를 프로비저닝 / DB 가동 중단없 이 확장 가능
읽기 전용 복제본 시스템: DB 인스턴스의 복제본을 하나 이상 생성하여 읽기 트래픽을 처리할수있는 기능 제공 - 가용성 및 내구성
자동 백업
데이터베이스 스냅샷
다중 AZ 구성 배포 : 다중 AZ 구성은 현재 서비스되는 RDB에 문제가 되어도 다른 AZ
자동 호스트 교체 : 하드웨어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, 배포를 지원하는 컴퓨팅 인스턴스를 자동 교체가능
실습
DB생성
DB재부팅으로 장애조치 테스트 할때 자동적으로 정상적인 RDS로 변경됨
while true; do host database-1.czk4yeia2fwr.ap-northeast-2.rds.amazonaws.com; sleep 1; done
읽기전용 복제 생성후 복제본 테스트
while true; do mysql -h database-1-replica.czk4yeia2fwr.ap-northeast-2.rds.amazonaws.com -u admin --password=kms2557# sqlDB -e "select * from userTBL;"; sleep 1; done
스냅샷을 통해서 DB 복구방법
PRO에서 자주 백업한다고 좋은게 아님 -> 비용발생
적당한 주기로 데이터손실이 생겨도 커버가 가능한 기간을 잘 설정해서 백업을 하는게 현명
서울 리전에서 싱가포르 리전으로 백업하기
'AWS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SQS (0) | 2024.07.16 |
---|---|
AWS EFS (0) | 2024.07.04 |
EBS (Elastic Block Storage) (1) | 2024.07.03 |
AWS client-VPN (0) | 2024.06.24 |
AWS 네트워크 연결 옵션 (0) | 2024.06.21 |